병원 방문할 때 신분증 꼭 챙기세요! 깜빡했을 때는 이렇게 하세요!

모바일건강보험증


안녕하세요. 월급쟁이 미디어입니다.

오늘은 병원이나 요양기관을 방문할 때 신분증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깜빡하고 신분증을 안 가져왔을 때 대처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병원 갈 때 신분증 챙겨야 하는 이유

요즘 건강보험 무자격자 부정수급과 신분 도용 문제 때문에 병원에서 신분증 확인 절차가 강화됐다고 합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우선은 신분증을 챙긴다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만약에 신분증을 가지고 오지 않았다면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본인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본인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 종류

병원에서 본인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여권
  • 국가보훈등록증
  • 장애인증록증
  • 외국인등록증
그리고 다음과 같은 전자 신분증 및 본인 확인 서비스도 가능합니다.

  • 공동인증서, 간편인증 등 전자서명인증서
  • 통신사, 신용카드사, 은행 본인 확인 서비스
  • 모바일 건강보험증, 운전면허증

 


신분증 깜박했을 때, 모바일 건강보험증 사용하기

요즘에는 스마트폰만 챙기고 다니시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스마트폰으로 Pay만 사용이 가능하다면 지갑이 불편할 수 있어요. 갑작스럽게 병원에 갈때 신분증을 깜빡하고 안 가져갔다면 당황하지 마세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개발한 모바일 건강보험증이 있어요. 이 앱만 설치하면 신분증 없이도 간편하게 본인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이용 방법

  1.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애플 App스토어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 설치
  2. 설치 후 본인 인증 수단 선택하여 본인 인증
  3. 간편 비밀번호 또는 생체 인증 정보로 비밀번호 설정
  4. 모바일 건강보험증 조회 또는 건강보험 자격확인 QR을 병원 또는 요양기관에 제시


 

 

신분증 사진과 파란색 신여권은 주의해서 사용하세요!

사진초라영한 신분증은 사용이 안됩니다. 파란색 신여권은 사용이 안되는데요. 신여권에는 주민등록번호 뒷자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권 정보 증명서가 있으면 신여권도 신분증으로 활용할 수 있어요.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은 증명서나 서류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도 꼭 기억해 주세요.


 

병원 갈 때마다 신분증  챙겨야 할까요?

한 요양기관에서 본인 확인을 받았다면, 6개월 내에 재진을 받을 때에는 신분증이 필요 없어요.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제도의 공정성을 노이기 위해 건강보험법을 개선했어요.


지금가지 많은 요양기관에서 환자 본인 확인 없이 주민등록번호만으로 진료를 해왔는데, 이 때문에 악용되는 사례가 많았다고 해요.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적발된 명의 도용 사례가 연평균 3만5000건에 달한다고 합니다. 발각되지 않은 사례는 훨씬 더 많을 거라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신분증올 환자 본인을 확인하지 않은 요양기관에는 100만원 이하의 관태료가 부과됩니다.

건강보험 자격을 대여해 주거나 대여받은 사람은 모두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어요.


병원 방문할 때 신분증을 꼭 챙기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드렸습니다.

그리고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본인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꼭 기억해 두세요!

여러분 모두 건강하게 지내세요!